2025. 5. 2. 18:45ㆍ자기계발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언리얼 엔진에서 AI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인 Nav Volume과 Nav Filter에 대해 학습했다. 이전까지는 AI가 단순히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방식만 사용했지만, 이번 학습을 통해 이동 가능한 영역을 직접 설정하고, 특정 영역에 제약을 둘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정교하고 현실감 있는 AI 동작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Nav Mesh Bounds Volume은 AI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였다. 이 볼륨을 레벨에 배치하고 Rebuild를 통해 녹색 영역으로 표시된 네비게이션 맵을 생성하면, AI는 이 영역 내에서만 경로를 계산하고 움직일 수 있었다. 즉, AI의 길찾기 기반이 되는 지도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처음엔 그냥 범위를 정하는 건가 싶었는데, 실제로 오브젝트나 지형의 높낮이에 따라 경로가 자동으로 계산되는 것을 보고 꽤 놀랐다.
이후 배운 Nav Filter는 네비게이션 경로에 제약이나 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AI는 모두 지나갈 수 있는 경로라도, 특정 AI는 가지 못하도록 막거나, 어떤 경로는 우선순위를 낮춰 돌아가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설정은 특히 적 AI, NPC, 동료 AI 등 캐릭터마다 다른 경로 탐색 로직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Nav Area를 통해 지역을 정의하고, Nav Filter를 통해 ‘이 AI는 여기만 지나가도록’, 또는 ‘이 영역은 위험지역이라 최대한 피하도록’ 등의 규칙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크게 높아졌다.
Nav Volume과 Nav Filter는 몰입감 있는 AI 행동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단순히 움직이기만 하는 AI에서 벗어나, 지형을 이해하고 조건에 따라 경로를 선택하는 AI를 만드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을 이번 학습을 통해 느꼈다. 앞으로는 다양한 Nav Area 설정을 실험해보며, 실제 게임 내에서 상황에 맞게 필터링된 AI 경로 탐색을 적용해볼 계획이다.
Abit.ly 다운받기
abit.ly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3일차 : RPG 전투 플레이 프로젝트로 배우는 언리얼 엔진 5 게임 개발 강의 후기 (2) | 2025.05.03 |
---|---|
[클래스101] 구글 애드센스로 평생 월 100만원 만드는 방법 10일차 (0) | 2025.05.02 |
[클래스101] 구글 애드센스로 평생 월 100만원 만드는 방법 9일차 (1) | 2025.05.01 |
[클래스101] 구글 애드센스로 평생 월 100만원 만드는 방법 8일차 (1) | 2025.04.30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0일차 : RPG 전투 플레이 프로젝트로 배우는 언리얼 엔진 5 게임 개발 강의 후기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