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7)
-
언리얼 마켓플레이스 팹 4월 2주차 무료 에셋
언리얼 마켓 플레이스 팹 4월 2주차 무료 에셋1850s Post Office Environment (Medieval,Abandoned,Village) | FabEnvirionments > abandoned지원 버전 : unreal 5.0-5.5107,868원 > 0원 G2: Mercenaries | Fab3D > Character&Creatures > Humans지원 버전 : unreal 4.25-4.27 AND 5.0-5.5123,280원 > 0원 Cine Cam | FabGame System > Gameplayer Features지원 버전 : unreal 4.25-4.27 AND 5.0-5.523,102원 > 0원
2025.05.04 -
[클래스101] 구글 애드센스로 평생 월 100만원 만드는 방법 12일차
제목 하나로 200만원 벌었던 이야기다음 블로그 제목을 정하는 방법연관 키워드에서 고르기해당 키워드를 검색 했을 때 자동 완성 되는 연관 검색어를 제목으로 사용한다.사람들은 연관검색어로 정보를 찾기 때문!
2025.05.04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4일차 : RPG 전투 플레이 프로젝트로 배우는 언리얼 엔진 5 게임 개발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언리얼 엔진의 Behavior Tree 시스템을 활용해 몬스터의 Chase행동을 구현해보았다. 이전까지는 단순히 블루프린트에서 AIController를 이용해 이동 명령만 주던 수준이었지만, Behavior Tree를 도입하면서 AI의 상태를 보다 명확하고 구조적으로 나눌 수 있게 되었다. 먼저 몬스터의 AI가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들을 나열해보고, 그 중에서 플레이어가 일정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쫓아가는 행동을 중점적으로 구현했다. 이를 위해 Blackboard에 플레이어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는 Key 값을 만들고, Behavior Tree에서는 플레이어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위치로 Move To 시키는 로직을 ..
2025.05.04 -
SKT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방법 내 유심 안전하게 지키기
유심보호서비스 | T world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www.tworld.co.kr SKT 유심 보호 서비스는 유심(USIM) 복제, 도용, 무단 기기 변경 등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과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는 무료 보안 서비스입니다.주요 기능무단 기기변경 차단: 내 유심을 다른 휴대폰에 넣어도 통화 및 서비스 이용이 불가해, 유심 복제나 도용을 막을 수 있습니다.해외 로밍 제한: 해외에서 음성, 문자,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차단되어, 분실·도난 시 부정 사용을 예방합니다.개인정보 보안 강화: 유심 정보를 복제·탈취해도 다른 기기에서 통신망 접속이 원천 차단됩니다.이용 요금완전 무료로 제공됩니다. 2025년 5월 3일부터 미가입 고객도 순차적으로 자동 가입 중입니다.가입 방법 및 유의사..
2025.05.04 -
[클래스101] 구글 애드센스로 평생 월 100만원 만드는 방법 11일차
다음 최적화 블로그 조건사진 1장내용 20글자공개 발행40일의 기다림 상위 노출다음 상위 노출은 사진 개수가 많을수록키워드를 반복할 수록 확률이 올라감 결론>바탕화면에서 파일명을 핵심 키워드로 변경티스토리 html 모드에서 사진에 alt 태그 이용하기
2025.05.03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3일차 : RPG 전투 플레이 프로젝트로 배우는 언리얼 엔진 5 게임 개발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언리얼 엔진의 Behavior Tree 시스템을 활용하여 몬스터의 Patrol 기능을 구현했다. 이전까지는 상태 머신(FSM)을 사용해 간단한 AI 로직을 구성했지만, Behavior Tree를 적용하면서 보다 체계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AI의 행동 흐름을 설계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였다. 우선 몬스터가 랜덤으로 이동 하는 기능을 간단히 구현해봤다. 복잡한 AI 시스템은 아니고, Blackboard에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Behavior Tree에서는 이 위치로 몬스터를 이동시키는 기본적인 구조였다. 기존의 FSM 방식과 달리 Behavior Tree를 사용하니 시각적으로 로직이 잘 보여서 구조를 이해하고 수정하기가..
2025.05.03